top of page
André Saraiva
/ 앙드레 사라이바
mrandre.com
1
브랜드 연혁
-
1971 스웨덴 아티스트 앙드레 사라이바(Andre Saraiva) 출생
-
1988 시그니처 캐릭터 “Mr. A”를 선보임
2
브랜드 소개
앙드레 사라이바는 스웨덴 남동부의 도시 웁살라(Uppsala) 출신의 아티스트이다. 파리를 주요 무대로 활동하며 오늘날 프랑스의 스트릿 아트를 이야기 할 때 빠뜨릴 수 없는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손꼽힌다. 앙드레는 시대를 앞선 감각적이고 예술적인 아트워크로 잘 알려져 있다. 1980년대 중반 파리의 길거리에서 벽에 그래피티(graffiti, 낙서)를 그리면서 아티스트로서의 커리어가 시작되었다. 앙드레는 벽에 단순하고 평범하게 이름이나 글귀를 새기는 기존의 그래피티와는 다르게 캐릭터나 주제가 있는 장면을 도입한 그래피티를 최초로 선보임으로써 파리의 가장 활동적인 스트릿 아티스트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아티스트가 되었다. 특히 1988년 앙드레가 선보인 독보적인 캐릭터 “Mr.A”는 특유의 사랑스럽고 유머러스한 모습으로 순식간에 전 세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동그란 얼굴에 중절모를 쓰고 윙크를 하는 쾌활한 신사 캐릭터 “Mr. A”의 등장은 수많은 아티스트의 작품에 영향을 미치며 현대 스트릿 아트의 역사에 중요한 터닝포인트로 손꼽히고 있다.
앙드레는 2016년 리스본에 설치된 기념비적인 타일 벽과 함께 전 세계의 전시회에서 꾸준히 자신의 예술 세계를 담은 작품들을 선보인다. 앙드레의 전시회는 홍콩, 상하이, 리스본, 로스앤젤레스 등 전 세계의 대도시에서 언제나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예술을 사랑하는 대중들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앙드레는 예술의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스트릿 아트를 상업과 적절하게 조합하는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앙드레와 그의 시그니처 캐릭터인 “Mr. A”는 루이비통(Louis Vuitton). 샤넬(Chanel), 까르띠에(Cartier), 나이키(Nike), 유니클로(Uniqlo), 발리(Bally), 해리 윈스턴(Harry Winston), 리바이스(Levi’s), 컨버스(Converse), 스누피(Snoopy), 해피 삭스(Happy Socks) 등 세계적인 일류 브랜드와의 제품 컬래버레이션 및 광고 캠페인에 꾸준히 등장하며 대중들의 소비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2018년 현재 앙드레는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티파니앤코(Tiffany&Co) 등 내로라하는 브랜드들과의 컬래버레이션을 진행중에 있다.
3
브랜드 컨셉/특징
지난 20여년의 역사동안 그래피티는 익명성을 기반으로 단순하게 우울한 도시의 풍경을 물들이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키스 해링(Keith Haring), 케니 샤프(Kenny Scharf), 카우스(KAWS), 넥페이스(Neckface). 그리고 세이모(SAMO) 등 몇몇 아티스트들은 스트릿 아트를 떠나 갤러리 아티스트로서 명성을 쌓았다. 하지만 앙드레는 “Love Graffiti” 컨셉을 전면에 내세우며 단 한번도 그래피티의 세계를 떠난 적이 없다. 갤러리의 벽이 아닌 전 세계의 클럽이나 야간 명소에 자신의 이미지를 소개함으로써 갤러리 아티스트가 되는 대신 그의 그래피티 아트에 새로운 감각을 부여하는 것을 택했다. 오늘날 저명한 호텔리어이자 밤을 위한 유흥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한 앙드레는 파리, 뉴욕, 도쿄 등의 밤문화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킨 공헌자이기도 하다.
앙드레는 자신의 수많은 모험 하나하나를 모두 평생에 걸친 아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치환한다. 전 세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아이코닉한 그래피티로 재탄생한 그의 또다른 자아인 “MR. A”와 함께 언제나 윙크를 하듯 적절한 유머감각으로 예술의 세계에 접근한다. 기존의 그래피티에서는 금기시되었던 형광핑크를 도입하는 등, 시대를 앞선 앙드레의 새로운 시도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불어넣는다. 또한 앙드레는 그래피티 아트의 의미를 저항적인 하위문화에서 친근하고 유토피아적인 대안으로 재해석해 대중의 진입장벽을 낮추었다. 앙드레의 세계에서 드로잉은 사랑을 공유하기 위한 연애편지와 같은 특별한 의미와 가치를 가진다. 예술계의 내외부를 옥죄어 오는 숨막히는 자본주의로부터 탈출하는 유일한 방법으로써 돈으로 살 수 없는 가치인 사랑과 관대함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채워준다.
4
응용 분야
패션, 라이프스타일, 인테리어(홈, 매장, 호텔 등), 식품, 엔터테인먼트, 전시회
bottom of page